어메이징메리-가우스적분

by Friend Lee posted Oct 07,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polarcoordinateintegrald.png

 

gifted.png

 

 



칠판에다가 적은 것을 이용하는 문제를 푸는 것이다

가우스 적분이다

그리고 폴라코디네이트 시스템도 적용해야 한다

가우스 적분의 값은 루트파이

적분을 하다보면 구간이 나오고 적분에서 사용되는 미세한 거리가 폴라코디네이트으로 변형이 되면서

알 디알 디세타

가 된다

제곱을 이용하고 그다음  엑스제곱과 와이제곱이 알의 제곱으로 변형이 되어

그리고 루트파이와 구간에서

와이는 마이너스 무한에서 무한이므로 세타는 영에서 이파이로

그리고 엑스는 마이너스 무한에서 무한이므로 알은 영에서 무한으로

그래서 나오는 닶이 가우스적분은 루트파이이다

*영화에서는 2곱하기 시그마의 제곱이 있다

루트 2 파이 시그마 곱하기 루트 2 파이 시그마를 해서 나오는 값이 2 파이 절대값시그마이다

그런데 영화에서는 그림이 90도 옮기어 진것 같다

(식에 마이너스가 있는데 문제를 적어논 것은 없다 그래서 그림이 이렇게 되었다)

( 대학원에서 일반적인 것의 공식이 있고 감마함수등이 나온다)

(메리가 푸는 문제에 마이너스가 없어서 그림이 90도 옆으로 그려지게 된 것이다)

푸는 방법은 바로 위에서 사용한 것이 아니라 가우스 적분을 이용하고 폴라코디네이트시스템을 이용한 것이다

*메리가 마이너스가 빠졌다는 말에 할머니와 값이 다시 학교로 간다

가우스 적분에서는 2시그마제곱이 없다

통계에서 나오는 공식을 유도한 것이고

고등학교에서는 그냥 적고 사용한다

영화 어메이징메리에서 나오는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은 유체 역학등에 나오고 미분방정식에서도

편미분 그리고 비선형도 들어간다

잠시 언급이 된 인도의 수학자 라마누잔도 나오는데

무한대를 본 남자란 영화에서 정수론과 현대 물리학과 공간에서 물질이 집중된다는  ...

한 곳에서 ....

한번 두영화를 보기 바랍니다

 

 

 


Article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