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장에서 실력과 수강

by 이슬비소리 posted Nov 22,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회원중에는 1년을 수강하는 사람이 있고

 

초급 6개월만 하는 사람이 있고

 

초중급 1년간만 수강하는 사람이 있고

 

이제는 수료를 한 다음에 다시 수강을 하는 사람이 있다

 

잘하는 사람은 맨 나중의 일이다 보통 운동을 즐길려면 1년을 하는데

 

친구니의 경우는 수강횟수가 상당하다

 

개념이 잘 안되어서 혹은 이해가 안되고 진도가 나가서 등이 있기 때문이다

 

폼이 안좋으면 바꾸는 것이 많은 시간이 걸린다

 

테니스는 3년은 수강해야 동호회 폼이 나오고

 

4년은 발리

 

5년 정도되면 서브 발리등을 이해하는 단계에 온다

 

볼링은 100게임을 해보니 이론을 기억하고 하나씩 접근하는 것인데

 

모르고 하면 130정도이고

 

이론을 하나씩 겸비하면 150정도 나온다

 

신경을 써서 하는 것과 연습을 위해 하는 것은 점수차가 꽤 난다

 

조용할때 볼링을 하는데 실제로 많은 사람이 오후와 저녁에 많이 한다

 

아침 10시는 새벽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장애인들이 많이 오고....

 

수영은 처음에는 몰르고 들어가면 고생한다

 

이론을 생각하는 것이 몸에 배는 것이 상당히 오래걸린다

 

보통 1년이 수강기간인데 처음부터 꾸준히 하고 상급반이 되면 접영에서 뒷쳐지게 된다

 

오리발을 준비하고 오리발이 나중에 생활스포츠가 되는 현상이다

 

강의 도중에 하나씩 알려주는 것이 쌓이고

 

또 잊어버리기도 많이 한다 공부를 하고 강의를 듣고 수강을 하고 등을 하면

 

그 기간이 단축이 되는 것이다

 

그 후로는 자유이용을 하는 것이다

 

수강을 많이 한다고 실력이 느는 것은 아니나 왠만한 회원은 수강하면 실력이 느는데

 

잘하는 사람이 도와주면 좋다

 

실제로 수강과 실력이 중급반까지는 평행하게 가지만

 

중급반 상위클래스는 이론과 연습 그리고 노력이 있어야 한다

 

중급반에서 상급반 수준으로 가기위한 노력은 엄청난 자금과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그만큼 게임에서 좋은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탄천은 중급반이 있고

 

수영은 상급반과 연수반이 있다

 

그 이상은 선수들의 수준이 되는 것이고

 

실력으로 묻는 것이 아니라 구력으로 따지게 된다

 

구력도 5년이상이라도 그냥 5년이라고 한다

 

5년 6년 7년...이상도 구력 5년이라고 하면 실력이 최고 동호인인 되는 것이다


Articles

1